독일238 독일 3-55 뤼벡 *교회가 어떻게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지 그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스케치가 있어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2025. 4. 17. 독일 3-54 뤼벡 *교회 안에서도 이렇게 많은 십자가를 보는 건 처음이었습니다. 금박의 섬세한 조각들도 매우 정교하여 놀라웠습니다. 2025. 4. 16. 독일 3-53 뤼벡 *교회 안에 이렇게 다양한 인물 나무 조각상이 있는 건 처음 봅니다. 특별 전시 중 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얼굴은 없어도 표정이 읽혀지는 듯 했습니다. 2025. 4. 15. 독일 3-52 뤼벡 *오래된 교회에는 대부분 파이프오르간이 있지요. 여기도 예외는 아닙니다. 2025. 4. 14. 독일 3-51 뤼벡 *교회 안에 들어서니 고딕식 높은 천장이 매우 웅장하면서도 단조롭지 않고 무거워 보이지 않아 인상적였습니다. 장식이나 색채가 섬세하면서도 밝아 좋았습니다. 2025. 4. 12. 독일 3-50 뤼벡 *성 마리앤 교회는 뤼벡의 역사적인 랜드마크입니다. 고딕 양식으로 13-15세기에 지어졌으며, 122m의 탑은 북부 독일 교회 중 가장 높습니다. 아래서 두 번째와 세 번째 악마상에 대한 전설도 있습니다. 빈 터에 악마는 와인 가게 건물이 세워질 것이라 기대하며 자신의 힘을 보탰지만 정작 교회가 세워진 것에 분노하며 교회를 부수려고 했답니다. 그때 어느 노인이 와인 가게를 세워 줄테니 교회는 부수지 말라고 설득한 뒤 교회 옆에 와인 가게를 세워주었고 그것에 만족한 악마는 흡족해 하며 떠났다는 이야기입니다. 2025. 4. 11. 독일 3-49 뤼벡 *시청사 내부에 들어서니 반짝이는 검은 벽돌의 고딕 양식 천장이 너무 멋있어서 압도되는 느낌였습니다. 미리 가이드 예약을 하지 않아 더 깊이는 볼 수 없었지만, 시청사 외부와 내부가 다 기대 이상였습니다. 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지 알 것 같았습니다. 2025. 4. 10. 독일 3-48 뤼벡 *시청사 벽에는 청동 조각품들이 붙어있었는데 무엇을 의미하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시청사 안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손잡이 조각부터 심상치 않습니다. 2025. 4. 9. 독일 3-47 뤼벡 *뾰족한 첨탑과 함께 붉은색과 검정색 벽돌로 지어진 시청사 건물이 너무 존재감이 커서 부근의 다른 건물들은 잘 보이지도 않았습니다. 돌출된 발코니 장식도 대단히 섬세했습니다. 2025. 4. 8. 독일 3-46 뤼벡 *시청사는 독일어로는 '라트하우스(Rathaus)'라고 하는데 1226년 후기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시작하였으며, 이는 거대한 기둥머리와 볼트를 올린 천장에서 아직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 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고, 포목장 겸 실내 시장으로 쓰였습니다. 높은 곳에 위치한 게이블은 유약을 발라 구운 어두운 색깔의 벽돌로 쌓아 올렸으며, 1298년과 1442년에도 끊임없이 개·증축 되었습니다. 마지막 대규모 증축은 1570년경 우아한 네덜란드 르네상스 스타일의 석회암 건물로 한스 헨드릭 반 파이스헨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18세기에는 로코코 스타일로 장식을 다시 하기도 했습니다. 2025. 4. 7. 독일 3-45 뤼벡 *성 페트리 교회를 보고 걷다 보니 시청사 광장에 도착했습니다. 사람들도 많고 건축물도 특이해서 마구 설렜습니다. 이곳 광장에서 차를 마시며 주변 건축물을 감상하기로 했습니다. 2025. 4. 5. 독일 3-44 뤼벡 *교회 전망대에 올라가니 홀스텐 문과 성 마리앤 교회, 시청사 등이 또렷이 보입니다. 2025. 4. 4. 독일 3-43 뤼벡 *내부를 복원하지 않고 비워둔 채 문화 공간, 전시 공간으로 쓴다니 그것도 좋은 활용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흰색으로 칠했나 봅니다. 2025. 4. 3. 독일 3-42 뤼벡 *중세 느낌의 붉은 벽돌 외부와 달리 내부는 온통 흰색으로 칠해져 있고 일반적인 교회의 내부가 아니라 텅 비어 있어 깜짝 놀랐습니다. 군데 군데 옛 교회의 흔적들이 남아 있어 조금 씁쓸한 느낌도 들었습니다. 2025. 4. 2. 독일 3-41 뤼벡 *성 페트리 교회는 13세기 초에 세워진 유서 깊은 교회입니다. 제 2차 세계대전 때 폭격으로 무너져 복구한 곳이고, 현재는 예배를 진행하지 않고 문화 공간과 전망대로 쓰이고 있습니다. 2025. 4. 1. 이전 1 2 3 4 ··· 16 다음